뉴 세션 관리자 사용법


* 솔로세션 = 자신만 접속할 수 있고 다른 누구도 (모더 포함) 접속할 수 없는 세션
* 코드세션 = 코드를 아는 사람들끼리만 접속할 수 있는 세션 (락갤의 화리세션 같은 것, 코드를 모른다면 모더도 접속 불가능.)
* 방화벽세션 = 락스타 게임의 통신 포트를 차단시켜 만드는 솔로세션, 반듯이 세션에 접속 후 활성화 시켜야 함.

-- 솔로/코드 세션으로 접속하는 법

1. 게임이 실행 중이라면 완전히 종료한다.
2. 세션 관리자에서 솔로세션 전환 또는 코드세션 전환을 누른다.
2-1. 코드세션 전환을 눌렀다면 자신이 접속을 원하는 세션의 코드를 입력 후, 엔터 또는 코드세션 전환을 누른다.
3. 게임을 실행한다.

-- 방화벽 세션 사용 법

1. 세션에 접속한다.
2. 세션 관리자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후, 방화벽 세션을 누른다. (세션 관리자 실행 파일을 우클릭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주의사항 : 방화벽 세션을 활성화 시킨 상태에서 세션을 옮기기나 스토리 임무 참여 등을 하면 튕기게 됨.
세션이 옮겨지는 작업을 하기 전, 방화벽 세션을 비활성화 시키고 하길 바람.


설정 설명



- 업데이트 확인 = 새 버전의 세션 관리자가 나왔는지 확인하는 버튼
- 솔로세션 코드 설정 = 솔로세션의 코드를 자신이 원하는 코드로 재설정하는 버튼.
- 프로그램 재설치 = 세션 관리자를 재설치하는 버튼(설정 값, 게임 경로 등 모든 데이터 초기화)

- 자동으로 업데이트 확인 = 매 실행시 새 버전의 세션 관리자가 나왔는지 확인하는 옵션
- 항상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 매 실행시 관리자 권한을 요구함. (방화벽 세션을 자주 사용한다면 키셈)
- 프로그램 종료 시 방화벽 세션 비활성화 = 방화벽 세션이 활성화 된 상태로 프로그램을 종료하면 자동으로 방화벽 세션을 비활성화 시켜주는 옵션


QnA



Q. 락스타 런쳐에서 파일변조 문구가 뜸
A. 코드를 작성할 때, 하이픈(-)을 입력했는 지 확인해야 함, 하이픈을 사용하지 않았는데도 뜬다면 무시하고 게임을 실행하면 됨.

Q. 벤 가능성
A. 없다고 봄, 이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모드는 옛날부터 해외에서 써왔던 모드임.
그리고 이 모드 사용으로 벤당했다는 사람은 아직까지 본 적이 없음.

Q. 세션 전환 시 오류가 발생함.
A1. 액세스가 거부되었습니다 = 세션 관리자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야 함.
A2.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 세션 관리자를 재설치하거나 게임경로를 다시 설정해줘야 함.
A3. 기타 등등 다른 오류가 떴거나 위의 오류가 떴지만 해결이 안됨 = 세션 관리자 배포 글에 댓글 남겨주셈.

Q. 솔로세션을 사용하면 FFFF나 unknown오류가 뜨지 않읍니까?
A. ㅇㅇ 솔세쓰면 공개세션보다 튕기는 횟수가 매우매우 줄어듦.

Q. "버전이 호환되지 않습니다" 오류가 발생함.
A. 니가 그 사람과 다른 코드를 사용해서 그럼
그게 아니라면 코드세션에서 공개세션에 있는 유저에게 접속하려 했거나, 반대의 경우임.
게임 플레이 중에 갑자기 오류가 떴다면 핵이 널 강제로 자기 세션으로 데려오려 해서 그럼

Q. 코드의 대소문자 구분 여부
A. 구분 함, 스페이스바 부터 특수기호등 모든 문자가 같아야만 접속이 가능함.

Q. 게임 경로가 설정이 안됨 (오류가 발생함)
A1. 1.3 또는 2.0에서 게임 경로 설정 과정을 다시 만들려고 함.
세션 관리자 배포 글에 댓글 남기면 도와 주겠음.
A2. 구 세션 관리자를 사용하면 해결 수 있음. 구 세션 관리자 다운로드

Q. 캠프와 밀주 오두막이 자꾸 깜빡깜빡거리고 사라졌다 생겼다 함
A1. 세션 합치기 때문임, 방화벽 세션을 비활성화하면 해결 됨.
A2. 그냥 기다리다 보면 다시 생김
A3. 방화벽 세션 말고 솔로세션이나 코드 세션으로 가면 괜찮음.

Q. 원하는 기능이나 궁금한 점이 있음.
A. 내 대답을 원한다면 갤에 글로 쓰지 말고 세션 관리자 배포 글에 댓글을 남겨주거나, 상단의 오픈채팅으로 톡 남겨주셈.

Q. 바이러스와 백도어 논란에 대해서
A. 난 갤에 배포하는 배치파일/프로그램 들에 바이러스와 백도어를 넣은 적이 단 한 번도 없음.
불안하다면 디컴파일러 프로그램인 DotPeek을 사용해 프로그램을 디컴파일 후, 소스를 확인해보면 됨.
따로 난독화를 하지 않아서 C# 특성상 소스 손실 1도 없이 깔끔하게 디컴파일 될 것임.